포커게임에서 사용되는 베팅 칩 중에서 가장 단위가 큰 칩이 블루칩입니다. 즉 배당주 블루칩이라는 말은 배당주에서 최고의 퀄리티를 가진 주식 종목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배당주 블루칩에는 다음의 6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 배당이 과거 12년 동안 5배 이상 증가했는가?
- 신용평가회사 S&P에서 부여하는 기업 퀄리티 순위가 "A-"등급 이상인가?
- 거래량이 500만 주 이상인가?
- 기관투자자가 80명 이상인가?
- 최소 25년 동안 배당이 중단된 적이 없는가?
- 과거 12년 중 최소 7년 기업이익이 계속 증가했는가?
배당주 블루칩 6가지 조건의 이유
이상이 《절대로! 배당은 거짓말하지 않는다》라는 책에 나오는 배당주 블루칩의 6가지 조건입니다. 이러한 6가지 조건을 가지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왜 12년인가?
'회복-호황-후퇴-침체'라는 경기 사이클은 평균 4년 정도 지속이 됩니다. 그렇기에 12년이라는 기간은 이와 같은 경기 사이클을 3번 정도 겪을 수 있는 기간입니다. 경기 사이클을 3번 정도 겪는 동안 배당을 5배 이상 인상하고, 7년 이상 기업 이익이 증가했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의 사업이 탄탄하고, 유능한 경영진들을 통해 기업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입니다.
S&P의 신용평가가 A등급 이상인가?
거기에 신용평가사의 등급까지 더하면 이 기업이 믿을만한 기업인지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S&P 신용등급이 A등급 이상이라는 의미는 투자적격 등급에 속하며, 안정성 또한 평균 이상임을 뜻합니다. S&P의 신용평가 등급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구분 | 등급 | 내용 | |
장기 | 단기 | ||
투자적격 등급 | AAA | A-1+ | 안정성 최상위급, 최고의 신용상태를 나타냄 |
AA+ | 안정성 상위급, 위험성은 적은 편이나 상황에 따라 소폭 변동 가능 | ||
AA | |||
AA- | |||
A+ | A-1 | 안정성 보통, 경제 침체시에는 위험성이 다소 증가 | |
A | |||
A- | A-2 | ||
BBB+ | 안정성 평균이하, 경제 상황에 따라 위험성 변동 | ||
BBB | A-3 | ||
BBB- | |||
투자부적격 등급 | BB+ | B | 원리금 상황은 가능, 안정성이 관련 산업의 여건 및 회사의 운영 등에 따라 변동, 전반적인 신용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 높음 |
BB | |||
BB- | |||
B+ | |||
B | |||
B- | |||
CCC+ | C | 원리금 상환 가능성이 의문시 | |
CCC | |||
CCC- | |||
CC | |||
C | |||
D | D | 부도상태, 상환불능 상태 |
왜 거래량이 중요한가?
주식의 거래량은 유동성을 의미합니다. 또한 기관투자자들은 유동성이 풍부한 기관들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래야 기관투자자들이 대규모로 주식을 거래할 때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동성이 높을수록 주가 조작 또한 어렵습니다.
기관투자자 수가 왜 중요한가?
월스트리트는 학벌과 경력 등으로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커뮤니티에 속해있어 기관투자자들은 유사한 정보들을 동시다발적으로 접하고 비슷한 행동을 취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주 블루칩 기업을 인기가 없을 때 사놓으면 나중에 기관투자자들의 매수가 유발될 때 주가가 다시 적정 수준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1-10명의 기관투자자들이 지분의 50%를 소유한 것보다 80명 이상의 기관투자자들이 지분의 50%를 소유한 것이 주가가 더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배당이 중단되지 않은 기업이어야 하는 이유
최소 25년 동안 배당을 중단하지 않은 기업이어야 하는 이유는 배당을 꾸준히 지급해 온 기간이 짧은 기업들이 주가의 변동성이 더 크고, 이익과 배당에 대한 신뢰성도 낮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25년이란 긴 세월동안 여러 번의 불황이 찾아왔을 것이고, 기업의 실적은 오르락내리락했을 것인데도 불구하고 배당을 지속했다는 것은 기업의 경영진의 능력이 매우 뛰어나며, 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또한 다른 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결국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핵심은 경쟁력인데 25년 이상 배당을 중단하지 않고 지급했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기업이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6 가지 조건을 확인하는 방법은?
저는 우선 가장 확인하기 쉬운 거래량부터 확인을 했습니다. 거래량은 내가 이용하는 HTS나 MTS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주가를 알려주는 어느 사이트를 들어가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1. 거래량 확인하는 방법
저는 특별히 인베스팅닷컴을 통해 거래량을 확인합니다. 인베스팅 닷컴을 통해 거래량을 확인하는 이유는 인베스팅 닷컴에서는 일 거래량뿐 아니라 평균 거래량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거래량 확인하는 사이트 바로가기
2. 배당과 관련된 내용 확인하는 방법
거래량을 확인한 후에 두 번째로 확인하는 것은 배당을 지급한 기간입니다. 배당을 지급한 기간은 SeekingAlpha에서 확인합니다.
배당과 관련된 데이터 확인하는 사이트 바로가기
1) 배당 지급한 기간을 확인하는 방법
seekingalpha에서는 배당과 관련된 여러 데이터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Dividends - Dividend History에서 이 주식 종목이 몇 년 동안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몇 년 동안 연속해서 배당금을 인상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과거 12년 동안 배당금 5배가 증가했는지 확인하는 방법
seekingalpha에서 이번에는 Dividends - Dividend Growth 메뉴로 가면 주식 종목이 몇 년부터 얼마의 배당금을 지급했는지 자료를 살펴볼 수 있으며 간단한 계산을 통해 12년 전보다 지금의 배당금이 5배 이상 증가했는지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S&P 신용등급 확인하는 방법
S&P 신용등급 S&P Global에서 기업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티거로는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S&P 글로벌 사이트를 가입해야 S&P 신용등급을 조회할 수 있으며, 최근 S&P 신용등급의 단기와 장기 등급을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P 신용등급 확인하는 사이트 바로가기
4. 기관투자자수 확인하는 방법
기관투자자수는 야후 파이낸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olders에서 Major Holders 맨 마지막이 그 주식 종목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투자자수를 나타냅니다.
기관투자자수 확인하는 사이트 바로가기
5. 기업 이익을 확인하는 방법
책에서는 과거 12년 중 최소 7년을 기준으로 말하고 있으나 여러 곳을 살펴본 결과 무료로는 과거 10년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까지는 가능했습니다. stockanalysis가 글자도 크고, 그래프로도 볼 수 있어서 확인하기가 편리합니다. 기업의 이익은 영업이익을 말하는 것인지 순이익을 말하는 것인지 알 수 없어 둘 다 확인을 합니다. Financials - Income - Annual 메뉴를 통해 10년 치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 이익 확인하는 사이트 바로가기
이상으로 배당주 블루칩의 6가지 기준과 그 기준의 의미, 그리고 그 기준을 찾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과연 이 기준에 해당하는 배당주 블루칩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주식 종목이 그에 해당하는지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주식 이야기 > 배당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JNJ(Johnson & Johnson), S&P 신용평가 최고 등급 (0) | 2022.05.17 |
---|---|
Automatic Data Processing (0) | 2022.03.21 |
AJG STOCK (0) | 2022.03.11 |
halliburton stock (0) | 2022.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