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에 투자를 한다면 단기투자를 해야 할까요? 장기투자를 해야 할까요? 정답은 '자신의 성향에 맞는 투자를 해야한다'입니다.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해 증권사에 가입하여 주식 거래가 가능한 계좌를 개설하면 꼭 거치는 과정이 있습니다. 몇 개의 질문에 답하며 자신의 투자 성향에 대해 답변을 하는 것입니다. 보통 투자 성향 테스트에서 묻는 질문은 나이, 투자 가능 기간, 투자 경험, 투자에 대한 본인의 수준, 자산의 몇 %를 투자할 것인지, 수입원, 감수할 수 있는 손실 등입니다. 이렇게 투자 성향에 대한 질문에 답변을 하고 나면 투자 성향을 알려주며, 상품을 추천도 해줍니다(종목 추천 아님). 증권사들이 계좌를 개설할 때 이렇게 자신의 투자 성향에 대한 테스트를 하게 하는 것은 자신의 성향에 맞는 투자를 하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아무리 장기 투자가 큰 수익률로 갈 수 있는 길이라고 하더라도 주가 하락을 견디지 못하는 사람은 장기 투자를 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MBTI로 보는 투자 성향
요즘 한창 MBTI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MZ세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혹시나 MBTI가 무엇인지 모를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BTI는 에너지의 방향, 인식 방식, 결정 방식, 삶의 패턴 이렇게 4가지 지표를 통해 개인의 성향을 16가지 유형으로 나눕니다.
에너지 방향(E 또는 I)
에너지 방향에는 외향형과 내향형으로 나뉘는데, 외향형은 단체 활동을 선호하고, 생각을 표출하며 말하기를 선호합니다. 반대로 내향형은 혼자하는 활동을 선호하며, 내면에 담고 글 쓰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렇기에 외향형은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에너지가 회복되지만 내향형은 혼자 있어야 에너지가 회복됩니다.
인식 방식(S 또는 N)
어떤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감각형과 직관형으로 나뉩니다. 감각형은 실용적이고 현실적이라 숲보다는 나무를 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감각형은 이미 일어난 적이 있는 일에 초점을 둡니다. 반대로 직관형은 미래를 추구하고 이상적입니다. 나무보다 숲을 보며, 두루뭉술하고 자기만의 방식이 있습니다.
결정 방식(T 또는 F)
결정 방식에는 사고형과 감정형으로 나뉩니다. 사고형은 객관성과 합리성에 초점을 두고, 일과 목표 그리고 효율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논리적인 성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감정형은 일보다는 대인관계와 사람을 중요하게 여기며, 감정 표현에 예민합니다. 공감적인 성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삶의 패턴(J 또는 P)
삶의 패턴은 간단하게 말하면 계획적인가? 즉흥적인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판단형은 결단력이 있고 철저하며 조직적입니다. 예측 가능한 것을 좋아하고, 명확하고, 계획적인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결과의 올바름을 중시합니다. 인식형은 융통성 있고, 편안함을 중시하며, 자유롭고 즉흥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과정의 올바름을 중시합니다.
재미로 보는 MBTI 유형별 투자 방식
투자는 데이터지! 분석형(ENTJ, ESTJ, ISTJ, ISFJ)
이 유형은 재무제표, 트렌드 분석, 뉴스 등을 보며 열심히 공부하면서 투자합니다.
친구 따라 강남가자형(ENFP, ESFJ, INFP, ISFP)
이 유형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친구가 사는 종목을 따라 삽니다.
미래를 점치는 예언자형(ENFJ, INTJ, INFJ, INTP)
이 유형은 차트를 예측하고, 주변에 열심히 전파하는 유형으로, 친구 따라 강남가자형이 많이 의지하는 투자 유형입니다.
인생은 한방형(ENTP, ESFP, ESTP, ISTP)
이 유형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고수익을 위해서는 위험도 감수하며, 단기간의 큰 수익을 원하는 유형입니다.
MBTI 유형별 투자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평소 성격과 투자 방식은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조용조용한 성격의 사람인데 투자 방식은 고수익, 고위험을 추구할 수도 있고, 사람을 좋아해 친구가 추천해 주는 종목에 투자할 것 같은 사람도 실제로 투자를 할 때는 열심히 공부하며, 적은 금액으로 투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 평소에는 조용한 사람이 운전대만 잡으면 난폭해지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평소 성격과 투자의 성향은 다룰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애플 매도
- 주식종목: 애플(AAPL)
- 세븐 스플릿: 2
- 매수일: 2022. 4. 12
- 매도일: 2022. 4. 13
- 보유기간: 1
- 매수단가: 165.60
- 매도단가: 169.24
- 세전 수익률: 2.20%
어제 프리장에서 2번이 매수했던 애플을 오늘 프리장에서 매도를 진행했습니다. 어제 정규장에서도 매도의 기회가 있었지만, 타이밍을 놓쳐 오늘 매도를 진행했습니다. 세븐 스플릿은 2-7번의 경우 빠른 시일 안에 수익을 거두고 싶은 투자 성향을 가진이에게는 하루 만에 투자 수익을 가져다 줄 수도 있는 투자 방식입니다. 또한 세븐 스플릿은 1번의 경우 장기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투자 시스템입니다. 장기 투자는 못하지만, 장기투자를 따라 하고 싶은 단기 투자형 투자 성향을 가진 사람에게는 이러한 시스템이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세븐스플릿이란?
세븐 스플릿이란? 세븐 스플릿은 제가 "경제적 자유를 찾아서"라는 블로거님의 블로그에서 배운 주식을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총 7개의 계좌로 나눠서 주식 거래를 한
hoeo.tistory.com
투자유형 테스트 하기
한국크라우드투자 코펀딩
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펀딩, 소득공제 100% 벤처인증기업 채권투자
m.kofunding.co.kr
MBTI 테스트 하기
무료 성격유형검사 | 16Personalities
혹 질문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직하게 답변하십시오.
www.16personalities.com
'실제투자 이야기 >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4.99% 하락, 금일 애플 추매 예정 (0) | 2022.05.06 |
---|---|
테슬라 주식 만 원 받기(feat. KB증권, M-able미니) (0) | 2022.05.05 |
애플 추가 매수 (0) | 2022.04.12 |
주가 하락, 팔아야 할까? (0) | 2022.04.08 |
미국 주식에 투자하려면 밤새도록 주식 창을 봐야 할까? (0) | 2022.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