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막스는 Oaktree Capital Management의 공동 창립자로서, 경기가 불확실할 때에도 전략적인 투자를 통해 안정성과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투자자로 잘 알려져 있다. 2024년 4분기 포트폴리오는 그가 글로벌 시장과 경기 변동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번 글에서는 하워드 막스의 2024년 4분기 포트폴리오를 분석하고, 그의 투자 스타일과 전략을 알아보겠다.
1. 2024년 4분기 하워드 막스 포트폴리오 주요 변화
✅ 새롭게 추가한 종목 (BUY)
종목 | 기업명 | 산업 분류 |
SNRE | Sunrise Communicat C IA | 통신 |
GOLD | Barrick Gold Corp. | 금광업 |
CHKEL | Chesapeake Energy Corp. WTS | 에너지 |
HDB | HDFC Bank Ltd. | 금융 |
CPNG | Coupang Inc. | 이커머스 |
MESO | Mesoblast Ltd Spon ADR | 바이오 |
🔻 주식 수를 크게 줄인 종목
종목 | 기업명 | 감소율 |
TLN | Talen Energy Corp | -43.07% |
PAM | Pampa Energia S.A. | -35.67% |
FCX | Freeport-McMoRan Inc. | -27.31% |
CBL | CBL & Associates Ppty Inc. | -24.97% |
TGS | Transportadora de Gas Del Sur SA | -13.97% |
👉 에너지 및 원자재 관련 기업들 비중 축소가 특징적.
🔼 주식 수를 크게 늘린 종목
종목 | 기업명 | 증가율 |
HDB | HDFC Bank Ltd. | +65.98% |
LBTYA | Liberty Global Ltd CLA | +20.61% |
NTES | NetEase Inc. | +71.84% |
👉 금융(HDFC Bank), 기술(넷이즈), 통신(리버티 글로벌) 중심으로 확장
2. 경기 전망 분석: 경기민감 vs. 경기방어 투자
📉 경기민감 산업 (경제가 좋아질 때 성장) → 비중 축소
✅ 청산 또는 축소한 종목
- 에너지 기업 (Talen Energy -43.07%, Pampa Energia -35.67%)
- 원자재 기업 (Freeport-McMoRan -27.31%)
- 부동산 (CBL & Associates -24.97%)
👉 경기 불확실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원자재 및 에너지 기업 비중 축소
📈 경기방어 산업 (불황에도 소비 유지) → 비중 확대
✅ 새롭게 추가한 종목
- Barrick Gold (GOLD) → 금은 안전자산
- HDFC Bank (HDB) → 방어적 금융주
- Coupang (CPNG) → 필수 소비재와 이커머스
👉 안전자산과 경기방어적 금융·이커머스를 확대하면서 방어적 포트폴리오 구축
📊 경기선행 산업 (경기 회복 시 먼저 성장) → 넷이즈(NetEase) 대폭 확대
✅ 넷이즈(NTES) 71.84% 증가
- 중국 IT 기업, 게임·클라우드 사업 확장
- 경기 회복 시 가장 먼저 성장할 기술주 중 하나
👉 경기 회복 가능성을 대비해 일부 기술주 확장
📉 경기후행 산업 (경기 좋아진 뒤 성장) → 금융주 일부 유지
✅ 금융주 확대: HDFC Bank (HDB) 65.98% 증가
✅ 기존 보유 금융주 유지
👉 경기 회복 후 성장할 금융주(HDFC Bank) 비중을 확대했지만, 미국 금융주는 공격적으로 늘리지 않음
3. 하워드 막스의 투자 방향 정리
📌 하워드 막스는 경기 둔화를 예상하면서도 일부 회복 가능성도 염두에 둔 전략을 취하고 있다.
- 경기 둔화 대비
- 금(GOLD), 방어적 금융(HDFC Bank), 이커머스(Coupang) 확대
- 경기민감 산업(에너지, 원자재, 부동산) 비중 축소
- 경기 회복 대비
- 넷이즈(게임/클라우드) 대거 매수
- 일부 통신·기술주 확대
📢 투자자들에게 주는 메시지
✅ 경기 불확실성이 크다면 방어적 산업(금, 금융, 필수 소비재)에 투자하는 것이 안정적
✅ 경기 회복이 기대된다면 기술주(넷이즈)와 금융(HDFC Bank)도 고려 가능
✅ 원자재·에너지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클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중한 접근 필요
하워드 막스의 포트폴리오는 워런 버핏보다 더 방어적이면서도, 일부 기술주와 금융주에서 회복 가능성을 노리는 균형 잡힌 전략을 보여준다.
4. 하워드 막스는 원래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에 투자하는 스타일인가?
하워드 막스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면 처음 들어보는 듯한 기업들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하워드 막스는 일반적인 대형주보다 가치 대비 저평가된 기업을 선호하며, 워런 버핏이 애플,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코카콜라 등 대형 우량주 중심으로 투자하는 반면, 하워드 막스는 SNRE(스위스 통신), HDB(인도 은행), NetEase(중국 IT) 등 글로벌 틈새 시장 공략하는 투자 스타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하워드 막스의 투자 원칙
“가치 투자 + 저평가 자산 찾기”
워런 버핏보다 더 적극적으로 신흥시장과 틈새 산업을 탐색
대형 우량주보다 잠재력이 큰 기업을 찾는 데 집중
5. 하워드 막스 vs. 워런 버핏 - 포트폴리오 & 투자 스타일 비교
비교 항복 | 하워드 막스 | 워런 버핏 |
투자 스타일 | 저평가 가치주 + 글로벌 분산 투자 | 대형 우량주 + 미국 중심 |
대표 기업 | Torm Plc (해운), HDFC Bank (인도 금융), NetEase (중국 IT) | 애플, 코카콜라,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산업 선택 | 에너지, 원자재, 신흥시장 금융, 통신 | 기술(애플), 소비재(코카콜라), 금융(BoA) |
지역 분포 | 미국 + 유럽 + 인도 + 중국 | 거의 미국 중심 |
리스크 관리 | 원자재/금/신흥시장 투자로 위험 분산 | 장기 성장성이 높은 안정적인 기업 중심 |
✅ 핵심 차이점
- 버핏: 검증된 미국 대형주 중심 투자
- 막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인도·중국 등 글로벌 투자
✅ 공통점
- 둘 다 가치 투자를 기반으로 한다.
- 단기 트렌드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을 평가한다.
- 경기 변동을 고려해 방어적 산업과 성장 산업을 균형 있게 투자한다.
📌 하워드 막스의 투자 전략 핵심
1️⃣ 미국 외 신흥시장(인도, 유럽, 중국 등)에 적극 투자
2️⃣ 금(GOLD), 에너지, 원자재 등 경기 변동에 대비한 헷지 투자
3️⃣ Torm Plc(해운), NetEase(IT), HDFC Bank(금융) 등 특정 산업에서 저평가된 기업을 발굴
📌 워런 버핏과 하워드 막스의 투자 철학 차이
- 버핏: "미국 내 대형 우량 기업을 사서 장기 보유"
- 막스: "글로벌 저평가 기업을 찾아 위험을 분산하면서 성장 기회 포착"
6. 하워드 막스 포트폴리오 다시 보기
하워드 막스의 포트폴리오를 산업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에는 눈에 띄게 표시를 해놓았다.
🛢️ 에너지 & 원자재 (Commodity & Energy)
✅ Torm Plc (TRMD) 🔵 – 덴마크 기반 해운사, 석유 및 화학제품 운송
✅ Expand Energy Corp (EXE) – 에너지 회사, 천연가스·석유 탐사·생산
✅ Vista Oil & Gas (VIST) 🔵 – 멕시코·아르헨티나 중심의 석유 및 가스 기업
✅ SunOpta Inc (STKL) – 식물성 식품 및 지속가능한 원자재 기업
✅ Barrick Gold (GOLD) 🔵 – 캐나다 기반 세계적인 금광 기업
💡 특징:
- 경기 변동 대비 원자재(금, 석유 등) 관련 투자 다수
- 해운 및 물류 관련 기업 포함 (석유 운송 수요 기대)
🏦 금융 & 신흥시장 금융 (Finance & Emerging Market Banks)
✅ HDFC Bank (HDB) 🔵 – 인도 최대 민간은행, 신흥시장 금융 성장 수혜
✅ Banco Macro (BMA) 🔵 – 아르헨티나 기반 은행, 고금리 환경에서 수익성 기대
✅ Oaktree Specialty Lending Corp (OCSL) – 사모펀드 대출 회사, 중소기업 대출 사업
💡 특징:
- 미국 대형은행 대신 신흥시장 금융(인도·남미) 투자
- 사모펀드·특수 금융(Lending) 관련 투자도 포함
📡 통신 & IT (Telecom & Tech)
✅ Sunrise Communications (SNRE) 🔵 – 스위스 기반 통신사, 유럽 통신시장 투자
✅ Liberty Global (LBTYA) 🔵 – 유럽 최대 케이블·통신 회사
✅ NetEase (NTES) 🔵 – 중국 IT·게임·인터넷 기업, 텐센트 경쟁사
💡 특징:
- 미국의 버라이즌, AT&T 대신 유럽·중국 IT & 통신 기업에 투자
- 게임·인터넷 기업 (NetEase) 포함 – 성장성 기대
🏭 산업재 & 부동산 (Industrials & Real Estate)
✅ Kilroy Realty Corp (KRC) – 미국 서부 중심 상업용 부동산 회사
✅ CBL & Associates (CBL) – 쇼핑몰·리테일 부동산 운영 기업
✅ Trip.com (TCOM) 🔵 –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글로벌 여행 수요 회복 기대
💡 특징:
- 부동산 투자 포함 (상업용, 쇼핑몰 관련)
- 여행업 (Trip.com) 투자 포함 – 경기 회복 시 수혜
🔬 헬스케어 & 바이오 (Healthcare & Biotech)
✅ Bausch Health (BHC) 🔵 – 캐나다 기반 제약·안과 관련 의료기업
✅ Mesoblast Ltd (MESO) 🔵 – 호주 기반 줄기세포 치료 연구 기업
💡 특징:
- 바이오 기업은 소수 포함 (보수적 접근)
- 안정적인 헬스케어(제약) 투자
'미국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런 버핏 2024년 4분기 포트폴리오 분석: 경기 전망과 투자 전략 (0) | 2025.02.16 |
---|---|
비전 프로 대박 조짐... 애플 주식 사요? (0) | 2024.02.04 |
테슬라 주식, 언제 사야할까요? (0) | 2024.02.04 |
2023년 미국 주식 시장 휴장일 (0) | 2023.01.05 |
워런버핏의 포트폴리오(2022년 1분기) (0) | 2022.05.19 |
댓글